본문 바로가기

UX RESEARCH

[유저 리서치] 어디에 유저 리서치를 사용할까?

리서치는 효율적으로 활용하자

- 선행조사를 통해 아직 서비스 관련해서 준비된 게 없어도 진행 가능하다

- 프로토가 없어도 (테스트에 사용할 것) 다른 적절한 리서치 방법을 사용한다.

 

리서치를 언제 사용하는가?

상황 선행 연구 출시 전 출시 후
서비스 기획 초기 단계에 , 기획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할 때 O    
서비스 컨셉에 대한 반응을 점검하고 싶을 때 O    
신규 서비스 / 시장의 기회 요인 파악하고자 할 때 O    
UX / UI의 수용성을 점검하고 개선 방향성을 찾고 싶을 때
  O O
서비스의 잠재 고객 (Target user)을 파악하고 싶을 때 O
고객 세분화 전략을 수립하고 싶을 때   O
신규 서비스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해야 할 때   O

 

어떤 시점에 조사를 해야 할까?

선행 연구 (기획 전) 출시 전 조사 (Test) 출시 후 조사 ( Evaluation)
- 시장 탐색 조사
- Idea / Concept test
- Pre- Launch test
- Prototype testing
- 출시 초기 반응 평가
- 이용 행태 파악 조사
- Target / Segment 분석
- 마케팅 / 브랜딩 전략
- 커뮤니케이션 전략

 

서비스를 만들기 전에 

- 선행 연구

(사람들이 이런 서비스에 대해 어떻게 인식할까?)

- 서비스 카테고리 자체에 대한 시장의 수용성 / Needs 파악

(이런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할까?)

- Idea에 대한 반응 확인

- 동일 카테고리 / 유사 서비스 사용 행태 파악

(현재 쓰는 유사 카테고리 서비스에서 unmet needs는 없을까?)

 

출시 이전에(Pre-Launch stage)

- Wireframe / Concept / 시안에 대한 반응 확인

(사람들이 이런 서비스를 좋아할까? 이 서비스에 대해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을 우리가 담고 있을까?)

- Prototype 기능 및 사용성 평가

(우리가 만들고 있는 버전 중 어떤 것의 반응이 더 좋을까? 현재 시안에서 어떤 점을 개선해주면 좋을까?)

 

출시 이후에

- 출시 초기 시장 반응 평가

(우리 서비스를 사람들이 어떤 서비스로 인식하고 사용할까?)

- 시장 내 우리 서비스 이용 행태 조사

(우리가 기대한 사용성과 사용자의 실제 usage scene이 같을까?)

-우리 서비스의 이용 고객군 이해를 위한 조사 (Target / Segment)

(우리 고객군은 어떻게 나눠질까?)

- 마케팅 / 브랜딩 / Comm. 전략

(고객군별로 우리 서비스의 포지셔닝을 어떻게 해야 할까?)

 

준비 가능한 Stimulus 에 따라

Wireframe Prototype CBT / OBT 버전 정식버전 평가
초기 단계에 아이디어 검증 메뉴/가능 등에 대한 인식 및 이해도 등 파악 가능 실제 출시될 앱/서비스에 대한 테스트 시장에 릴리즈한 후, 앱/서비스/기능에 대한 평가
프로덕트 개발에 시간/비용을 들이기 전에 사용자 반응 수집 시용성에 대한 테스트 가능    
다양한 옵션/기능 평가 가능      

 

 

 

'UX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저 리서치] 리서치 목적  (0) 2021.12.31
[유저 리서치] 유저 리서치는 왜 필요할까?  (0) 202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