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49 - Chapter 53
Chapter 49 혼합 프로토타입 기법
필드 리서치
필드리서치란?
현장에 나가 사용자가 처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지, 무엇을 조사할 것인지, 어떻게 만날지, 어떤 방법으로 수행할지 미리 계획을 세우고 실시해야 한다.
계획
|
대상 선정
|
내용 설계
|
방법 계획
|
일정 계획
|
내용
|
- 사용자 분류
- 사용자 대상 선정
|
- 이슈 정의
- 질의 내용 설계
- 리서치 가이드 작성
|
- 리서치 기법 정의
- 진행 방식 계획
- 파일럿 테스트
|
- 구체적 대상자 선정
- 리서치 일정 계획
- 오리엔테이션
|
자료
|
- 사용자 표본
- 사용자 분류 표
|
- 질의 내용
- 필드 리서치 가이드
|
- 리서치 진행 계획서
- 진행 방식 안내서
|
- 리서치 참여 안내문
- 사전 교육 자료
|
종류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특정 주제에 대해 소수의 응답자가 집단을 이루어 집중적이고 심층적으로 토론하는 정성적 리서치 기법이다. 사전 질문과 사후 질문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프로토타이피이나 완제품의 서비스 체험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는 데 용이하다. |
인터뷰 | 인터뷰는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각과 행동 방식에 대한 질문과 대화를 통해 해답을 구하는 방식으로, 예측된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을 세워놓고 조사하는 기법이다. |
설문조사 |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적 모집단을 추출하고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일부만을 표본으로 조사하는 표본 조사 방법이다. |
카드 소팅 | UX 디자인의 마지막 단계인 설계와 구현 그리고 테스트 단계에서 유용한 방법으로, 주로 워크플로나 내비게이션의 설계나 평가에 사용한다. |
인지적 지도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신의 경험을 공간적인 형태로 표현하고, 그것을 탐색하는 경로도 그려보게 하는 것을 말한다. |
포토 다이어리 | 사용자 스스로 일상을 기록하게 하는 방법이다 |
섀도 트레킹 | 일상생활을 동영상 촬영을 통해 관찰하는 방식이다 |
아이트래킹 | 대상에 대한 눈동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기법이다. |
오즈의 마법사 | 오즈의 마법사에서 이름을 빌려온 기법 프로토 타입을 테스트 할 때 유용한 기법으로 완성 전 시스템을 테스트 하기위해 Wizard가 사용자와 인터뷰하며 사용자의 행동과 반응을 이끌어 낸다. 인공지능 기반 보이스 인터렉션과 IOT 서비스의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할 때 쓰인다. |
제품 발견 테스트 기법
사용자 또는 고객이 이 제품을 사용하거나 구매할 것인가? | 가치 |
사용자가 이 제품의 사용 방법을 이해할 수 있는가? | 사용성 |
우리가 이것을 만들 수 있는가? | 실현 가능성 |
이 솔루션이 우리의 사업에 유효한가? | 사업 유효성 |
Chapter 50 사용성 테스트
프로토타입 테스트하기
- 실제 사용성 테스트를 시작할 때 참여자들에게 이것은 단지 프로토타입이고 실제 제품이 아닌 것을 밝혀야함
- 프로토타입의 핸딩 페이지부터 무언가를 이야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라
- 사용자가 비평가의 태도가 아닌 사용자의 태도를 유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해야 함
(그들이 무엇을 말 하는지보다 무엇을 하는지를 관찰하라.)
- 침묵을 유지하라
- 심문하는 형태를 피하라
-앵무새처럼 행동하라
Chapter 51 가치 테스트
사용자가 우리의 기능을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이 진정으로 가치를 인식할 때 선택 받는다.
수요 테스트
정성적인 가치 테스트
- 행동이 아닌 그들의 대답에 집중해라.
(이 제품을 사랑하는지?, 비용을 낼 의사가 있는지?, 선택할지?, 사용하지 않는다면 왜 그런지?)
정량적인 가치 테스트
- 광고 기술 분야의 경우 객관적 데이터로 판단 가능
- 게임 같은 유형은 객관성 떨어짐
Chapter 52 수요 테스트 기법
수요 테스트 기법
= 가짜 문 수요
-사용자들이 버튼을 클릭할 때까지 테스트 상황임을 알 수 있는 어떠한 시각적인 표시가 없다는 것
효과적인 이유
- 버튼에 대한 클릭률(CTR, Click-Through Rate)을 기대 수준 혹은 다른 기능들과 비교할 수 있음
- 그들이 무엇을 기대했는지 이해할 수 있음
랜딩 페이지 수요 테스트
- 페이지에 버튼을 추가하는 것 대신 새로운 서비스의 퍼널에 랜딩 페이지를 구현하는 것
위에 두 테스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 수요에 대한 근거
- 우리 서비스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유저의 목록